본문 바로가기
아동발달

인지발달에서 작업기억

by 발달연구자 2024. 9. 26.

인지발달에서 작업기억

 

작업기억은 정보를 일시적으로 담고 있는 용량이 제한된 체계입니다. 작업기억은 정보를 장기적으로 보유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저장합니다. 이러한 일시적 저장은 추리, 이해, 학습 등 다른 인지 과제에 사용할 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작업기억에 담겨 있는 정보는 새로운 정보일 수도 있고 장기기억에서 인출해 낸 정보일 수도 있습니다.

 

인지발달에서 작업기억

 

작업기억의 구성 요소

작업기억은 세 가지 하위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앙집행부, 시공간 잡기장, 음운고리입니다. 중앙집행부는 여러 작업기억 활동을 조정하고 자원을 배분하는 주의 통제 체계로 기능합니다. 시공간 잡기장은 시각정보, 공간정보, 그리고 근육운동 감각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합니다. 음운고리는 언어정보와 청각정보를 유지하고 처리하는 일시적 음운 저장고입니다. 음운고리에서 처리되는 언어정보는 말소리의 형태를 나타내며, 음운 저장고의 정보는 곧 소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발달심리학자들은 시공간 잡기장과 음운고리의 발달에 주로 관심을 가집니다. 아동은 초기에는 단기기억의 시각부호에 의존하다가 5세경에 음운부호로 전환한다는 관점이 있습니다. 여기서 연령이 중요하게 간주되는데 이는 피아제가 아동의 논리적 추리능력에 근본적 변화가 일어나는 연령과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구성 요소 설명
중앙집행부 작업기억 활동 조정 및 자원 배분
시공간 잡기장 시각정보 및 공간정보 처리 및 저장
음운고리 언어정보 및 청각정보 유지 및 처리

 

중앙집행부

 

중앙집행부는 작업기억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작업기억에서 정보 처리의 중심에서 기능하며 주의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주의 통제를 하게 됩니다. 작업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자원을 배분하며 정보 선택 및 유지를 하며 문제 해결 지원을 하게 됩니다. 아동의 인지 발달에 중요한 요소이며 학습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의 향상에 크게 기여합니다. 

 

시공간 잡기장

아동이 5세 이전에 시각기억 부호에 의존한다는 생각은 대부분 간접적으로 지지됩니다. 유아가 작업기억의 자료를 부호화할 때 말소리 사용에 효과가 별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음운고리가 작용한다는 증거로 간주되며, 유아의 작업기억이 시공간 잡기장에 의존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유아는 시각정보를 기억해야 할 때 작업기억에서 시각부호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더 나이 든 아동은 시각적으로 제시된 자료를 언어부호로 변환하여 기억하는 가능성이 높습니다.

 

음운고리

 

음운고리의 활동은 자료를 부호화할 때 말소리 사용과 관련된 효과로 측정됩니다. 음운고리에 짧은 시간 동안 담아둘 수 있는 항목의 수는 개인의 기억폭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억폭은 작업기억의 용량을 보여주며 연령에 따라 증가합니다. 동일 연령의 아동이라도 언어에 따라 기억폭 추정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작업기억 용량은 말의 속도 또는 발음속도도 기억폭에 영향을 미칩니다. 발음을 느리게 하는 아이가 더 빨리 발음할 수 있는 아이보다 기억폭이 더 짧은 경향이 있습니다. 아동도 성인과 마찬가지로 짧은 시간 동안 정보를 담아두는 데 음운고리를 사용하지만, 과제의 특성과 아동의 연령, 그리고 장기표상의 질에 따라 점진적으로 이뤄집니다.

 

한 연구에서는 어린 아동이 시각적으로 제시된 정보를 시공간 부호에 의해 기억하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더 나이 든 아동은 시각입력을 자발적으로 언어부호로 변환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발달 양상은 암송이 명명 행동으로부터 발전한다는 연구에 의해 설명됩니다. 이 연구에서는 어린 아동이 시각자료나 촉각자료를 명명하여 언어 형태로 변화시키는 경우가 많고, 학교에 입학하면서 언어 전략에 점점 더 많이 의지하게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암송의 발달은 약 7세 이후의 기억폭 발달을 설명합니다. 이 시기 이전의 기억폭 발달은 명명뿐 아니라 기억할 항목의 친숙성에 의해서도 좌우됩니다. 장기기억에 있는 매우 친숙한 항목들은 그렇지 않은 항목들에 비해 저장하고 인출하기가 더 용이합니다.

 

결론 및 제언

작업기억은 아동의 인지발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시공간 잡기장과 음운고리의 발달은 아동의 학습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아동의 언어 발달과 관련된 연구는 음운고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대의 아동을 대상으로 작업기억의 발달 양상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 작업기억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학습 전략을 개발하여 아동의 인지적 성장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