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발달

지능에 대한 다양한 관점

by 발달연구자 2024. 11. 16.

지능은 수치로 나타낼 수 없는 무한한 가능성

지능이라고 하면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한 사람이 얼마나 똑똑한가를 나타낸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지능이라는 단어는 흔히 학교시기에 IQ테스트와 연결되어 점수로 평가되곤 하기 때문입니다. 부모님들은 자녀의 지능에 따라 학업 성취나 성공 여부에 대한 기대치를 달리 하곤 합니다. 그러나 지능이 높은 사람이 반드시 학업 성취에 뛰어나다고 보장할 수 없으며 인생의 성공 여부도 좌우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지능은 단순히 점수로 환원될 수 없는 복잡한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지능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지능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설명해 보고 아동의 발달에 도움이 되기 위해 양육자는 어떤 노력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지능은 수치로 나타낼 수 없는 무한한 가능성

지능의 다양한 관점

1. 심리측정의 관점에서 지능

지능검사의 발달을 낳은 전통적인 심리측정적 접근에서 지능은 사람들을 다른 사람들과 구분하는 지적인 특질 혹은 특성의 집합체입니다. 심리측정의 관점에서 지능은 다양한 검사와 척도를 통해 측정됩니다. 즉, 이론가들의 목표는 지적 특질이 무엇인지를 알아내고 측정하여 개인들 간의 지적 차이를 기술하는 것입니다. 

알프레드 비넷은 지능 측정의 선구자로서 그는 지능을 단일 요인으로 이해하는 접근을 하였습니다. 비넷은 지능이 특정한 연령, 즉 정신 연령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개인적인 지적 발달을 측정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를 예측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다른 심리측정 이론가들은 정신연령과 같은 하나의 점수가 인간의 지적 수행을 적절하게 나타낼 수 있다는 생각에 도전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지능의 다요인적 견해가 등장하였습니다. 다요인적 견해는 지능을 단일한 능력으로 국한하지 않고, 여러 가지 독립적인 능력으로 구성된 복합적 개념으로 이해합니다. 이 견해는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과 같은 다양한 이론에 의해 지지받고 있으며 지능이 언어적, 논리적, 음악적, 공간적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2. 현대 정보처리 견해에서 본 지능

전통적인 지능검사는 지식이 습득되고 유지되고 문제해결을 위해 사용되는 과정보다는 매우 협의의 지적인 내용물 혹은 아동이 현재 아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정보처리 이론은 인간의 지능이 단순히 기억력이나 문제 해결 능력에 국한되지 않고 정보의 수집, 분석, 저장 및 활용 능력으로 확장된다고 봅니다.

최근에 로버트 스턴버그(Robert Sternberg)는 지능의 삼두 이론을 제안하여 맥락, 경험, 그리고 정보처리 기술의 세 측면을 강조하였습니다. 첫째, 스턴버그는 지능적인 행동은 그것이 표현되는 맥락에 의존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맥락적인 과점에서 지능적인 행동은 문화에 따라, 혹은 하위문화에 따라 다르고 시대에 따라 다르며 생의 주기에서 어떤 시기인가에 따라 다르게 됩니다. 예를 들어 30년 전에는 수 계산을 정확하고 빨리할 수 있는 것이 매우 똑똑한 행동으로 생각되었지만 지금은 컴퓨터나 계산기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계산을 빨리 할 수 있는 사람을 훨씬 똑똑한 사람으로 여길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스턴버그는 과제를 수행한 경험은 그 삶의 수행이 지능적인 행동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과제가 너무 새로워서 자신이 알고 있는 능력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만 아니라면 적극적이고 의식적인 정보처리를 요구하는 비교적 새로운 과제들이 사고능력을 측정하는 가장 좋은 측정치라고 여깁니다. 따라서 새로운 도전에 대한 반응은 좋은 아이디어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능력의 지표가 됩니다. 이러한 경험요인은 지능검사의 개발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는데, 피검자의 지능을 공평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검사항목이 피검자에게 얼마나 친숙했는지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검사절차에서의 문화적 편향을 고려해야 할 것을 나타냅니다. 셋째, 스턴버그에 의하면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에 비해 더 빨리 더 효율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며 인지검사들은 이러한 차이들을 측정하고 지능의 중요한 측면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가 심리측정 이론을 비판하는 주요한 부분으로 사람이 어떻게 지적인 반응을 했는 가는 완전히 무시한 채 그 답의 질 혹은 정확성만을 이용해서 인간의 지능을 추정한다는 점입니다. 우리가 문제의 요구사항을 평가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지적 과정에 초점을 두어야만 한다는 점입니다. 

지능의 측면 설명
맥락적 요소 상황에 대한 적응성, 적절한 환경의 선택, 환경의 조성
경험적 요소 새로움에 대한 반응, 자동화
정보처리 요인 지식, 책략, 상위인지

 

3.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

하워드 가드너는 다중지능 이론을 통해 지능의 개념을 확장하였습니다. 그는 책 Frames of Mind에서 다중지능이론을 소개하면서 인간은 적어도 7가지의 지능을 갖는다고 제안하였습니다. 가드너는 그 이후 8번째 지능을 더하였고 9번째 지능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가드너는 이러한 지능이 지능의 세계를 모두 표현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각 능력이 분명하며 뇌의 특정 영역과 관련되어 있고 각기 다른 발달적 경로를 따른다고 주장합니다. 가드너는 뇌의 특정 부분에 대한 손상이 보통 다른 능력은 그대로 두고 특정한 능력에만 영향을 준다는 점을 지적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뛰어난 예술적 재능을 가졌음에도 지능검사에서는 저조한 점수를 나타내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이론은 교육 현장에서 개인의 다양한 잠재력을 인정하고 각자의 강점을 활용하는 교육 방법론을 개발하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가드너의 이론은 지능이 단순히 학업 성취와 연관된 것이 아니라 개인의 삶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지능의 종류 지적 과정 직업 분야
언어적 지능 언어의 사용과 이해, 의사소통 능력 시인, 작가, 저널리스트, 언어 교사
논리-수학적 지능 논리적 사고, 문제 해결, 수학적 이해 수학자, 과학자, 프로그래머
공간적 지능 공간적 관계의 이해, 시각화 능력 건축가, 조각가, 지도제작자
음악적 지능 음악의 이해와 창작, 리듬 감각 음악가, 작곡가, 음악 교사
신체-운동적 지능 신체적 조어, 운동 능력 운동선수, 무용가, 연극 배우
대인관계적 지능 타인과의 상호작용, 감정 이해 상담가, 사회복지사, 영업자
개인내 지능 자기 인식, 감정 이해 인생의 거의 모든 성공에 기여
자연관찰적 지능 자연 환경의 이해, 생물의 분류 생물학자, 환경운동가, 자연주의자
영적 지능(고려 중) 존재의 의미 탐구, 도덕적 가치 이해 종교인, 철학자

 

결론

지능은 단순히 정의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니라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복합적인 주제입니다. 심리측정의 관점, 현대 정보처리 이론, 그리고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과 같은 지능의 다양한 정의와 이론은 교육 현장에 중요한 함의를 가집니다. 이러한 다양한 접근법은 개인의 능력을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각자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기여합니다. 하나의 검사점수로 사람의 지능을 특징지으려는 시도는 개인의 잠재력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양육자와 교육자들은 아동의 잠재력을 기반으로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개인과 사회의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어야겠습니다.